티스토리 뷰

정보 블로그



    집을 사고, 전세나 월세를 구할 때 꼭 드는 비용 중 하나, 바로 부동산 중개수수료입니다.

     

    "계약금액 얼마에 수수료가 얼마냐?"는 항상 헷갈리기 쉬운데요,

     

    이번 글에서는

    2025년 기준 부동산 중개보수 요율표, 계산 방법, 할인 협상 방법

    까지 가장 실용적이고 자세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
     

    📌 부동산 중개수수료란?

     

    중개수수료는 부동산 중개사가 거래를 알선한 대가로 받는 비용입니다. 매매, 전세, 월세 모두 계약 금액에 따라 다르게 산정되며,

    법으로 정해진 ‘요율 한도’ 내에서 협의

    해 결정합니다.

     

    ✅ 2025년 기준 부동산 중개보수 요율표

    거래유형 금액구간 최대 요율 상한 수수료 예시
    매매·교환 5천만 원 미만 0.6% 최대 25만 원 한도
    5천만 원~2억 원 0.5% 계약금액×0.5%
    2억 원 초과 0.4% (협의 가능) 계약금액×0.4% 이내 협상
    임대차(전세·월세) 5천만 원 미만 0.5% 최대 20만 원 한도
    5천만 원~1억 원 0.4% 계약금액×0.4%
    1억 원 초과 0.3% (협의 가능) 계약금액×0.3% 이내 협상

    ※ 참고: 계약금액은 (전세금 + 월세 환산액) 합산 기준
    ※ 환산식: 월세 × 100 = 월세 환산액 (표준 환산)

     

    💸 중개수수료 계산 방법

     

    1. 계약금액 확인 (매매가는 단순 계약금액, 전월세는 합산 환산)

    2. 요율 적용 (상한요율 기준으로 계산)

    3. 양쪽 지급 여부 확인 (매수인, 매도인 모두 부담)

     

    예시 1: 매매 거래

    • 매매가: 3억 원
    • 요율: 0.4%
    • 수수료 = 3억 × 0.004 = 120만 원 (부가세 별도)

    예시 2: 전세 거래

    • 전세가: 1억 5000만 원
    • 요율: 0.3%
    • 수수료 = 1.5억 × 0.003 = 45만 원 (부가세 별도)

    📈 전월세 환산 계산법

    • 월세가 있을 경우 → 월세 × 100 + 보증금 = 계약금액
    • 예: 보증금 500만 원, 월세 50만 원 → 50×100 + 500 = 5,500만 원

    📋 수수료 절감하는 꿀팁

    • ✔️ 사전 협상 필수: 계약 전 "요율 협의 가능하냐" 확인
    • ✔️ 복수 매물 비교 후 수수료 저렴한 곳 선택
    • ✔️ 집주인과 직접 협상 시 일부 수수료 절감 가능
    • ✔️ 부가세 포함 여부 명확히 확인 (부가세 별도면 10% 추가)

    ⚠️ 주의사항

    • ❌ 무자격 중개업소 주의 (공인중개사 등록 여부 확인 필수)
    • ❌ 수수료 과다 청구 시, 지방자치단체에 민원 가능
    • ✔️ 계약서에 수수료 금액과 지급 시기 명시하기

    🙋 자주 묻는 질문 (FAQ)

    • Q. 중개수수료는 꼭 상한 요율대로 내야 하나요?
      A. 아닙니다. "상한"은 최대치일 뿐, 협의로 더 낮출 수 있습니다.
    • Q. 매수자와 매도자 모두 내나요?
      A. 예. 각각 따로 중개수수료를 부담합니다.
    • Q. 월세 환산할 때 무조건 100배 곱하나요?
      A. 표준환산은 100배이지만, 임대료 성격에 따라 70~100배까지 탄력 적용 가능

    🔍 결론

     

   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막연히 “비싸다”고 느끼기 쉽지만, 법정 요율표를 알면 협상도 쉬워집니다.

     

    수료 계산은 계약금액 × 요율, 부가세 별도 여부까지 꼭 체크

    하세요.

    내 집 마련, 내 전셋집 구하기, 수수료까지 똑똑하게 아끼면서 시작하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