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정보 블로그
집을 사고, 전세나 월세를 구할 때 꼭 드는 비용 중 하나, 바로 부동산 중개수수료입니다.
"계약금액 얼마에 수수료가 얼마냐?"는 항상 헷갈리기 쉬운데요,
이번 글에서는
2025년 기준 부동산 중개보수 요율표, 계산 방법, 할인 협상 방법
까지 가장 실용적이고 자세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📌 부동산 중개수수료란?
중개수수료는 부동산 중개사가 거래를 알선한 대가로 받는 비용입니다. 매매, 전세, 월세 모두 계약 금액에 따라 다르게 산정되며,
법으로 정해진 ‘요율 한도’ 내에서 협의
해 결정합니다.
✅ 2025년 기준 부동산 중개보수 요율표
거래유형 | 금액구간 | 최대 요율 | 상한 수수료 예시 |
---|---|---|---|
매매·교환 | 5천만 원 미만 | 0.6% | 최대 25만 원 한도 |
5천만 원~2억 원 | 0.5% | 계약금액×0.5% | |
2억 원 초과 | 0.4% (협의 가능) | 계약금액×0.4% 이내 협상 | |
임대차(전세·월세) | 5천만 원 미만 | 0.5% | 최대 20만 원 한도 |
5천만 원~1억 원 | 0.4% | 계약금액×0.4% | |
1억 원 초과 | 0.3% (협의 가능) | 계약금액×0.3% 이내 협상 |
※ 참고: 계약금액은 (전세금 + 월세 환산액) 합산 기준
※ 환산식: 월세 × 100 = 월세 환산액 (표준 환산)
💸 중개수수료 계산 방법
1. 계약금액 확인 (매매가는 단순 계약금액, 전월세는 합산 환산)
2. 요율 적용 (상한요율 기준으로 계산)
3. 양쪽 지급 여부 확인 (매수인, 매도인 모두 부담)
예시 1: 매매 거래
- 매매가: 3억 원
- 요율: 0.4%
- 수수료 = 3억 × 0.004 = 120만 원 (부가세 별도)
예시 2: 전세 거래
- 전세가: 1억 5000만 원
- 요율: 0.3%
- 수수료 = 1.5억 × 0.003 = 45만 원 (부가세 별도)
📈 전월세 환산 계산법
- 월세가 있을 경우 → 월세 × 100 + 보증금 = 계약금액
- 예: 보증금 500만 원, 월세 50만 원 → 50×100 + 500 = 5,500만 원
📋 수수료 절감하는 꿀팁
- ✔️ 사전 협상 필수: 계약 전 "요율 협의 가능하냐" 확인
- ✔️ 복수 매물 비교 후 수수료 저렴한 곳 선택
- ✔️ 집주인과 직접 협상 시 일부 수수료 절감 가능
- ✔️ 부가세 포함 여부 명확히 확인 (부가세 별도면 10% 추가)
⚠️ 주의사항
- ❌ 무자격 중개업소 주의 (공인중개사 등록 여부 확인 필수)
- ❌ 수수료 과다 청구 시, 지방자치단체에 민원 가능
- ✔️ 계약서에 수수료 금액과 지급 시기 명시하기
🙋 자주 묻는 질문 (FAQ)
- Q. 중개수수료는 꼭 상한 요율대로 내야 하나요?
A. 아닙니다. "상한"은 최대치일 뿐, 협의로 더 낮출 수 있습니다. - Q. 매수자와 매도자 모두 내나요?
A. 예. 각각 따로 중개수수료를 부담합니다. - Q. 월세 환산할 때 무조건 100배 곱하나요?
A. 표준환산은 100배이지만, 임대료 성격에 따라 70~100배까지 탄력 적용 가능
🔍 결론
부동산 중개수수료는 막연히 “비싸다”고 느끼기 쉽지만, 법정 요율표를 알면 협상도 쉬워집니다.
수수료 계산은 계약금액 × 요율, 부가세 별도 여부까지 꼭 체크
하세요.
내 집 마련, 내 전셋집 구하기, 수수료까지 똑똑하게 아끼면서 시작하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