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정보 블로그



    “단기 알바라서 퇴직금은 없는 거 아니야?”

     

    아닙니다.

     

    아르바이트라도 일정 조건만 충족하면 법적으로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이번 글에서는 아르바이트 퇴직금 발생 조건, 계산법, 신청 절차, 주의사항까지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자세히 안내해드립니다.

     

    📌 아르바이트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다?

     

    네, 받을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단, 일정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
     

    ‘상시 근로자 5인 미만 사업장’이어도 관계없습니다.

     

    퇴직금은 ‘근로자’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.

     

    ✅ 아르바이트 퇴직금 발생 조건 (2025년 기준)

    • ✔️ 1년 이상 계속 근로
    • ✔️ 주 15시간 이상 근로
    • ✔️ 근로계약서 작성 여부 무관 (실제 근무 사실만 입증되면 가능)

    → 이 세 가지를 모두 충족하면 아르바이트생도 퇴직금을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.

     

    🧮 퇴직금 계산법

    퇴직금 = 1일 평균임금 × 30일 × (재직일수 ÷ 365)

    • 1일 평균임금 = 퇴직 전 3개월 동안 받은 총급여 ÷ 실제 근로일수

    예시 계산

    • 월급: 100만 원
    • 주 5일 근무 (월 22일 일한다고 가정)
    • 3개월 총급여: 300만 원
    • 3개월 근로일수: 약 66일
    • 1일 평균임금: 300만 ÷ 66 = 약 45,454원
    • 퇴직금: 45,454 × 30일 ≈ 1,363,620원

    📋 퇴직금 청구 절차

     

    1. 사업장에 직접 요청

    2. 지급 거부 시 ‘고용노동부 진정’ 가능 -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(1350) 이용

    3. 진정 접수 → 사업주 조사 → 지급 명령

     

    🧾 준비해야 할 서류

    • 근로계약서 (없어도 OK)
    • 급여 이체 내역, 출퇴근 기록 (인증 앱, 타임카드, 문자 등 가능)
    • 4대 보험 가입 여부는 참고사항 (필수 아님)

    📈 주별 근무시간별 퇴직금 여부

    주 근무시간 퇴직금 발생 여부
    주 15시간 미만 퇴직금 없음
    주 15시간 이상 퇴직금 있음

    💡 자주 묻는 질문 (FAQ)

    • Q. 주 2~3일만 일했는데 퇴직금 받을 수 있나요?
      A. 주간 근로시간이 15시간 넘으면 가능합니다.
    • Q. 퇴사 후 언제까지 청구해야 하나요?
      A. 퇴직 후 14일 이내 지급이 원칙. 3년 이내 청구 가능.
    • Q. 계약서 없으면 포기해야 하나요?
      A. 아닙니다. 실제 근로 사실(급여 이체, 근무 기록 등)만 입증하면 지급 가능합니다.

    ⚠️ 주의사항

    • ✔️ 사업주가 퇴직금 협의로 줄여 지급하려 해도 법적 기준 이하 지급 불가
    • ✔️ "단기 알바라서 퇴직금 없다"는 건 잘못된 설명
    • ✔️ 사직서 제출 시 ‘퇴직금 포기’ 문구 주의 (무효 가능성 높음)

    🔍 결론

     

    아르바이트라도 꾸준히 일했다면 퇴직금은 내 권리입니다.

     

    근로계약서가 없어도, 1년 이상/주 15시간 이상이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

    퇴직할 때, 내 퇴직금도 꼭 챙기세요. 모르면 손해, 알면 당연한 권리입니다!